ㆍ드라이아이스 머신(dry ice machine)
고체 이산화탄소인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에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뜨거운 물과 만날 경우 변화 작용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차가운 수증기(smog)가 발생한다. 드라이아이스 머신은 물을 담는 드럼통, 히터 가열장치, 드라이아이스를 담는 데 필요한 바구니가 전부다. 물이 끓기 시작할 때 부서진 드라이아이스가 물에 잠기면 수증기가 만들어지고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흩어지면서 연기 효과를 만들어 내고 수증기는 사라지는 현상을 보인다.
드라이아이스의 취급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주의하여 사용한다.
-드라이아이스는 극도로 차가워 화상을 일으키므로 조작할 때 항상 장갑을 껴야 한다.
-드라이아이스는 빨리 증발하므로 필요한 양만 조금씩 사용한다.
-기계에 물이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사용한다.
-기계에 물을 보충하려면, 우선 뜨거워진 물을 식히도록 한다.
-기계가 작동 중에는 물이 끓고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산화탄소는 건강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가스가 생성되어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통풍이 필요하다.
ㆍ포그 머신(fog machine)
포그머신은 무독성(nontoxic) 오일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면서 연소하여 연기를 만들어낸다. 포그머신의 내부는 가열하는 코일이 감겨 있고 조절 장치에 의해 포그 액(fog juice)의 분출량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이 편리하고 소형 경량화된 포그머신은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도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포그 액을 전문적으로 공급하는 회사들은 포그 연기의 흩어지는 속도에 따라 몇 가지 종류의 포그 액체를 공급한다. 무거운(heavy) 포그 액의 경우 분사되고 나서 좀 더 오랫동안 남아 있다가 사라지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가벼운 포그 액의 경우 사라지는 속도가 보통의 노멀 포그 액보다 빠르다. 그러므로 원하는 효과에 따라 포그 액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퓨전 포그머신(diffusion fog machine)은 기존 포그머신의 분사 방식과 다른데, 오일을 연소시키는 방식이 아닌 진동자 방식을 이용하여 매우 미세한 연기로 분사된다. 최근에는 디퓨전 포그머신과 유사한 효과를 헤이저 포그머신(hazer fog machine)을 사용하는데 코일을 가열해서 포그 액이 계속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포그머신은 디퓨전 포그 머신과 비교할 때 소음이 적은 장점을 가진 대신 대기 중에 퍼지는 연기 입자의 미세한 효과는 덜하다. 디퓨전 포그머신과 헤이저 포그 머신은 노멀 포그 액과는 다른 액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두 머신은 반드시 전용 포그 액을 사용하여야 한다. 혼동하여 포그 액을 투입하면 분사 노즐이 막히거나 기계에 손상을 입히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얼음이 채워진 냉각통에 스모그를 머물게 하여 냉각시켰다가 분사하면 스모그가 공중에 뜨지 않고 바닥에서 가라앉는 냉각장치도 사용한다. 기존의 스모그 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드라이아이스에 비해 오랫동안 공중에 연기가 잔류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2005년 아르코 대극장에서 공연된 <고양이 늪>은 연극 배경이 외진 늪 근처로 공연 내내 물안개 효과가 필요했다. 차가워진 포그 액은 무대 바닥에 깔려 있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떠올라 사라지는 물안개 효과를 만들었다. 냉각통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포그머신도 공급되고 있다. 다음은 포그머신 사용 시 주의사항이다.
-포그 액은 연소 시 특유한 냄새가 나며 간혹 사람에 다라서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무자극이지만 주의가 요구된다.
-포그머신을 사용할 경우에는 공연 전과 객석 등장 입구나 로비에 연기효과가 실시됨을 관객들에게 줒시켜 혼란을 미연에 방지한다.
-기계가 예열되기 전에 포그머신을 작동할 경우 미끄러운 기름이 무대에 분사되어 나온다.
-포그머신 사용 중에는 분사 입구 쪽이 매우 뜨거우므로 인체 화상과 화재에 주의를 요한다.
-사람, 기계, 구조물 등에 직접 포그를 분사하지 말고, 포그머신은 통풍이 잘되도록 조작자는 항상 주위를 잘 주시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
-관객이나 무대를 뒤덮을 정도의 과도한 포그량은 피한다. 관객, 배우, 스태프들의 가시성을 떨어뜨려 잠재적으로 위험하며, 가끔 과도한 포그량은 화재경보기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ㆍLED(light emitting diode) 이용 조명 장비들
LED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로써 P형과 N형 반도체의 접함으로 이루어져 전압을 가하면 에너지가 빛 형태로 방출된다. LED 조명기는 DMX 컨트롤이 가능하고, 절전형으로 전력 소비가 매우 적거나 열이 거의 없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그리고 컬러 혼합에 있어서도 청색, 녹색, 적색 3가지 색상이나 앰버를 더한 4가지로 1,600만 개 이상의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진보하고 있다. 21세기를 위한 신기술이라 불리는 LED 무대조명용 장비들은 가볍고, 빠른 반응 시간, 소형화된 조명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PAR 조명기 모양, 넓은 구역을 비추기 용도, LED가 무빙 라이트 모양에 장착된 모델들이 현재 다양한 용도로 출시되고 있다. 기존의 무대조명기들을 대체하는 다양한 LED 기술의 적용은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