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조명이론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명과 전기 현대의 무대조명은 거의 모든 경우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빛을 비추고 조작하고 있다. 조명 전문가는 전기의 기본 지식을 잘 이해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한 조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전기의 기본적인 측정 요소인 전류, 전압, 저항, 전력의 상호 관계를 잘 이해하고 정확한 규격의 전기 배선 재료를 합리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안전한 조명 작업의 필수 조건이다. 근래 조명 기구의 많은 발전으로 램프 정도의 단순한 전기 부하 사용에 더하여 컬러 스크롤러, 무빙라이트 등 다양하고 복잡한 전기 장치로 제작된 조명 장비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조명 작업을 위하여 조명 전문인도 전기의 기본 지식에 더하여 심화한 전기 지식을 익힐 필요가 있다. 전기 개념 전기 단위의 관계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 더보기 반사 및 효과 무대 위에는 다양한 반사들이 일어난다. 반사들은 의상, 무대 소재, 작화, 마감, 색과 모양 등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반사는 물체 표면 특성과 성질에 따라 확산 정도, 방향, 색 등이 변화를 일으키고 물체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조명기에 사용되는 반사경은 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렌즈 방향으로 다시 반사해 방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반사경은 사용될 목적에 따라 표면 특성을 다르게 할 수 있는데 빛 퍼짐은 초점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영향을 미치고, 반사경 모양에 따라 집광이 결정된다. 1930년대 이후부터 금속에 알루미늄 코팅을 하여 가볍게 빛을 고르게 잘 반사할 수 있는 알작(alzak)이라는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경을 사용한다. 오늘날에는 여러 면의 거울 코팅으로 이루어진 다이크로익(dichroic)이.. 더보기 드라이아이스 머신, 포그 머신 ㆍ드라이아이스 머신(dry ice machine) 고체 이산화탄소인 드라이아이스는 고체에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로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뜨거운 물과 만날 경우 변화 작용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차가운 수증기(smog)가 발생한다. 드라이아이스 머신은 물을 담는 드럼통, 히터 가열장치, 드라이아이스를 담는 데 필요한 바구니가 전부다. 물이 끓기 시작할 때 부서진 드라이아이스가 물에 잠기면 수증기가 만들어지고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흩어지면서 연기 효과를 만들어 내고 수증기는 사라지는 현상을 보인다. 드라이아이스의 취급 시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주의하여 사용한다. -드라이아이스는 극도로 차가워 화상을 일으키므로 조작할 때 항상 장갑을 껴야 한다. -드라이아이스는 빨리 증.. 더보기 무빙라이트 무빙 라이트의 다양한 기능 기능들이란 콘솔에 의해 조절되는 무빙 라이트가 가진 여러 가지 특성적 속성들을 말하는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고보: 무빙 라이트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고보들이 장착되어 투사했을 때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고보는 고보 휠에 담겨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 문제 때문에 고보는 철재로 만든다. 현대 무빙 라이트에는 디자인이 인쇄된 유리 고보가 사용되어 거의 사진과 같은 문양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슬라이드 투사가 가능한 것들도 있고 영상 프로젝터처럼 동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장비도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② 고보 회전: 고보를 잡고 있는 기기에 회전자를 연결하여 회전하는 패턴을 만드는 기능이다. ③ 프리즘 효과: 초점면에 프리즘을 삽입하여 빛이 여러 방식으로 투사 .. 더보기 컬러 스크롤러와 무빙 라이트 ㆍ컬러 스크롤러(color scroller) 컬러 스크롤러 혹은 컬러 체인저는 조명기 앞에 부착되어 다양한 컬러 변화를 만들어내는 장비다. 주로 DMX 신호로 제어되며, 조명기 앞에 컬러가 장착된 스크롤러와 조명기를 부착시켜 주는 부착장치(frame holder)가 있다. 여러 컬러가 두루마리 형태로 연결된 것을 컬러 스트링(string)이라고 하는데, 한 개의 스트링이 컬러 스크롤러에 장착되는 모델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8, 16, 24, 32컬러의 스트링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컬러로 주문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두 개의 컬러 스트링이 장착된 모델의 경우 CMY 혼합이 가능한데 첫 번째 스트링에는 cyan yellow 컬러 스트링이 장착되고 두 번째 스트링에는 yel.. 더보기 빔프로젝터 라이트 ㆍ빔프로젝터 라이트(beam project light/beam light) 렌즈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빛의 크기를 조절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최소각과 최대각을 만들 수 있다. 빛의 테두리는 부드러우면서 강하고 좁은 빛줄기는 팔로우 스포트라이트 용도와 더불어 햇빛과 달빛 효과에도 유용하다. 조명기 본체를 이루고 있는 포물선 모양의 반사경 안에 G형 램프가 들어 있고 대체로 램프 앞쪽에는 작은 크기의 구형 반사경이 놓여 있다. 포물선 모양의 반사경은 빛이 서로 평행하게 나가도록 반사하고, 작은 구형 반사경은 빛을 포물선 모양의 반사경으로 다시 반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좁은 빛을 낼 수 있게 한다. 빔 프로젝터 라이트에는 빛의 산광을 막아주는 동심원 모양의 루버(louver)가 장착되어 있다. 램프의 용량은.. 더보기 퍼넬 스포트라이트와 플라노 컨벡스 스포트라이트 ㆍ퍼넬 소프트라이트(fresnel spotlight)와 플라노 컨벡스 스포트라이트(plano convex spotlight, PC) 프랑스 물리학자 오귀스탬 장 프레넬(1788~1827)에 의해 1800년경에 고안된 렌즈의 특성에 따라 퍼넬 혹은 프레즈넬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어 1930년경부터 극장 조명기에 장착되어 사용되었다. 퍼넬 스포트라이트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부드럽게 퍼지는 빛을 만들어내며, 주로 조명 워시용으로 사용한다. 퍼넬 렌즈는 플라노 컨벡스 렌즈의 볼록한 부분을 동심원 형태로 깎고, 굴절률을 조정하여 만든다. 그 결과 지름이 커지면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PC 렌즈와는 달리 퍼넬 렌즈는 공동 초점을 만들고, 두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름이 큰 렌즈를 생산할 수 있다. 퍼넬 렌즈는 .. 더보기 엘립소이달 리플렉터 스포트라이트 매년 수많은 조명기 제조회사들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자신들 고유의 조명 장비들을 공연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무대라는 특정한 공간에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조명 장비는 종류에 따라 독특한 기능과 특성을 이해하여 적용하는 것이 조명 작업의 중요한 요소다. 조명기 내부는 반사경, 렌즈, 램프 등 주요한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세 가지 구성 요소들의 밀접한 연관성에 의해 조명기 나름대로 서로 다른 빛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ㆍ무대조명기의 종류 엘립소이달 리플렉터 스포트라이트(ellipsoidal reflector spotlight, ERS) ERS는 렌즈가 장착된 무대조명기의 대표적 형태로 다른 조명기에 비해 무대에서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기종이다. 엘립소이달 리플렉터 스포트라이트 혹은 줄여서 E.. 더보기 이전 1 2 다음